브레이크 더 배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레이크 더 배리어는 1999년 5월 15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인터프로모션 프로레슬링 이벤트이다. ECW, NWA 등 여러 단체가 참여했으며, 3자간 경기, 래더 매치, 퍼스트 블러드 매치 등 다양한 경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메인 이벤트는 톰 브랜디의 배틀 로얄 우승으로 끝났으나, 그는 수상을 거부하고 프로모터를 공격했다. 또한 4명의 새로운 챔피언이 탄생했고, 더 헤드뱅어즈가 재결합했으며, 셰인 더글라스의 "슈트"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5월 - 옷로비 사건
옷로비 사건은 1999년 신동아 그룹 회장의 아내가 법무부 장관의 아내에게 고가 옷을 제공하려 한 의혹으로 시작되어 특별검사 임명, 법무부 장관 사임, 위증 혐의 유죄 판결 등으로 이어진 사건이다. - 1999년 5월 - NATO의 유고슬라비아 공습
NATO의 유고슬라비아 공습은 1999년 코소보 전쟁에서 코소보 알바니아계 주민 보호 및 유고슬라비아군 탄압 중단을 목적으로 NATO가 유고슬라비아 연방을 공습한 군사 작전으로, 국제법 위반, 민간인 피해, 코소보 정치적 지위 등 논쟁을 야기했다. -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 페이퍼뷰 - 할로윈 해벅
할로윈 해벅은 1989년 NWA의 WCW에서 시작되어 WCW의 연례 PPV로 개최되다가 WCW가 WWF에 인수되면서 중단되었지만, 2020년 WWE의 NXT에서 부활하여 현재 NXT의 연례 이벤트로 진행된다. -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 페이퍼뷰 - 스타케이드
스타케이드는 1983년 NWA의 짐 크로켓 프로모션이 시작한 프로레슬링 슈퍼카드 이벤트로, 초기에는 지역 폐쇄 회로 텔레비전으로 방송되다가 1987년부터 PPV로, 1988년 이후 WCW가 주최했으며 2000년까지 매년 개최되었고, 2017년 WWE가 부활시켜 스맥다운 브랜드의 하우스 쇼로 진행했다. - ECW 페이퍼뷰 - 매서커 온 34th 스트리트
매서커 온 34th 스트리트는 1999년 ECW에서 열린 프로레슬링 이벤트로,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놓고 스티브 코리노, 제리 린, 저스틴 크레더블이 격돌하는 메인 이벤트를 포함해 여러 경기로 구성되었으며, 코리노가 챔피언 자리를 방어했지만 경기 후 폭력 사태로 마무리되었다. - ECW 페이퍼뷰 - ECW 하드코어 TV
ECW 하드코어 TV는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의 주간 프로그램으로, 라이브 이벤트 영상 편집본, 백스테이지 프로모, 비네트 등으로 구성되어 ECW 특유의 하드코어한 폭력과 성적인 묘사, 거친 언어를 여과 없이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브레이크 더 배리어 | |
---|---|
행사 정보 | |
행사 이름 | 브레이크 더 배리어 |
![]() | |
주최 단체 | Allied Powers Wrestling Federation Combat Zone Wrestling Extreme Championship Wrestling Independent Pro Wrestling Independent Professional Wrestling Alliance Maryland Championship Wrestling Music City Wrestling NWA 뉴저지 New Dimension Wrestling South's Greatest Wrestling Fans Steel City Wrestling World Legion Wrestling World Wrestling Organization |
날짜 | 1999년 5월 15일 |
장소 | 바이킹 홀 |
도시 |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
관중 수 | 알려지지 않음 |
2. 주요 내용
브레이크 더 배리어(Break the Barrier)는 1999년 5월 15일 미국 필라델피아의 바이킹 홀에서 개최된 프로레슬링 이벤트이다.[1][2] 이 행사는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ECW),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NWA) 등 여러 독립 프로레슬링 단체가 참여한 교류전(Interpromotional show) 형태로 진행되었다.[1]
이벤트에서는 여러 단체 간의 경기가 펼쳐졌으며, 메인 이벤트인 배틀 로얄 우승자 톰 브랜디가 프로모터를 공격하는 등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다.[1][2] 또한 압둘라 더 부처의 난입[1][2], 4명의 새로운 챔피언 탄생[2], 더 헤드뱅어즈의 재결합 등 다양한 사건이 있었다. 특히 ECW 소속 셰인 더글라스는 논란의 "슈트" 인터뷰 이후 단체를 떠나게 되었다.[1][3]
2. 1. 인터프로모션 이벤트
브레이크 더 배리어는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ECW),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NWA) 등 여러 프로레슬링 단체가 참여한 교류전 형태의 이벤트였다.
메인 이벤트인 단체 간 배틀 로얄에서는 톰 브랜디가 최종 우승자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그는 프로모터 알 아이작스가 수여하는 트로피를 거부하고, 오히려 아이작스를 테이블 위로 파워밤 기술을 사용하여 공격하는 장면을 연출했다.[1][2]
다른 주요 경기 중 하나로 Allied Powers Wrestling Federation(APWF) 소속의 팡과 South's Greatest Wrestling Fans 소속의 블레이드 보드룩스 간의 퍼스트 블러드 매치가 열렸다. 경기 시작 10분 만에 압둘라 더 부처가 난입하여 두 선수 모두를 공격했다.[1][2] 압둘라는 포크로 팡을 공격한 뒤, 그를 관 속에 가두고 백스테이지로 끌고 가는 기행을 벌였다.
이 이벤트에서는 총 4명의 새로운 챔피언이 탄생했다.
- 마이크 쿼켄부시는 루 마르코니와 돈 몬토야를 꺾고 초대 SCW 로드 오브 더 댄스 챔피언에 올랐다.
- 닉 게이지는 저스티스 페인을 상대로 즉석에서 열린 스테이플 건 매치에서 승리하여 초대 CZW 인터프로모션 하드코어 챔피언이 되었다.
- 스카브는 나트론 스틸과의 래더 매치에서 승리하며 WWO 헤비웨이트 챔피언 벨트를 획득했다.
- 스티비 리차즈는 지미 시세로, 톰 브랜디가 참여한 3자간 경기에서 승리하여 AP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차지했다.[2]
이 외에도 과거 WWE 등에서 활동했던 태그팀 더 헤드뱅어즈가 이날 재결합했으며, ECW를 대표하여 참가하기로 했던 셰인 더글라스는 논란의 소지가 있는 "슈트"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 인터뷰는 결국 그가 ECW의 주요 이벤트인 하드코어 헤븐 페이퍼뷰 개최를 하루 앞두고 단체를 떠나는 결과로 이어졌다.[1][3]
2. 2. 경기 결과
톰 브랜디가 인터프로모션 배틀 로얄에서 우승했으나, 프로모터 알 아이작스가 수여하는 트로피를 거부하고 오히려 아이작을 테이블 위로 파워밤으로 공격하는 행동을 보였다. 이 외에 팡(Allied Powers Wrestling Federation)과 블레이드 보드룩스(South's Greatest Wrestling Fans) 간의 인터프로모션 퍼스트 블러드 매치가 열렸으나, 경기 도중 압둘라 더 부처가 난입하여 두 선수를 공격했다.[1][2] 압둘라는 팡을 포크로 공격한 뒤 관에 넣어 퇴장시키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연출되었다.이번 행사에서는 여러 새로운 챔피언이 탄생했다. 마이크 쿼켄부시는 루 마르코니, 돈 몬토야를 상대로 승리하여 초대 SCW 로드 오브 더 댄스 챔피언에 올랐다. 닉 게이지는 저스티스 페인과의 스테이플 건 매치에서 승리하며 초대 CZW 인터프로모션 하드코어 챔피언이 되었다. 스카브는 래더 매치에서 나트론 스틸을 꺾고 WWO 헤비웨이트 챔피언 벨트를 차지했으며, 스티비 리처즈는 지미 시세로, 톰 브랜디와의 3자간 경기에서 승리하여 AP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의 새로운 주인이 되었다.[2]
또한 더 헤드뱅어즈가 이날 재결합하여 경기를 가졌으며,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ECW) 소속의 셰인 더글라스는 ECW 하드코어 헤븐 페이퍼뷰를 하루 앞두고 ECW를 떠난다는 내용의 "슈트" 인터뷰를 진행하여 논란을 일으켰다.[1][3]
아래는 대회에서 열린 경기들의 상세 결과이다.[2][4]
경기 내용 | 경기 종류 및 관련 타이틀 |
---|---|
스티비 리처즈가 톰 브랜디와 지미 시세로(c)를 꺾음 | 3자간 경기 APWF 헤비급 챔피언십 |
데릭 스톤(c)이 스티브 샤프를 꺾음 |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경기 WLW 헤비급 챔피언십 |
릭 링크(c) 대 매니 페르난데스는 더블 실격으로 종료 | 싱글 매치 NDW 브라스 너클 챔피언십 |
더 핏불스(핏불 #1과 핏불 #2)가 피 드카파 U(비프와 채즈 웬트워스)(c)를 꺾음 | 태그팀 매치 IPW 태그팀 챔피언십 |
헤드뱅어 모쉬(c)가 로미오 발렌티노를 꺾음 | 싱글 매치 MCW 헤비급 챔피언십 |
테네시 볼룬티어즈(리노 리긴스와 스티븐 던)가 더 배드스트리트 보이즈(크리스찬 요크와 조이 매튜스)를 꺾음 | 태그팀 매치 |
스캡이 나트론 스틸(c)을 꺾음 | 래더 매치 WWO 헤비급 챔피언십 |
큐볼 카마이클(c)이 훌리오 산체스를 꺾음 | 싱글 매치 IPWA 헤비급 챔피언십 |
마이크 퀘켄부쉬가 루 마르코니 (with "핫 $샷" 드류 라자리오)와 돈 몬토야를 꺾음 | 3자간 경기 초대 SCW 댄스 챔피언십의 군주 [5] |
팡이 블레이드 부도렉스를 꺾음 | APWF 대 SGWF 퍼스트 블러드 매치 |
닉 게이지가 저스티스 페인을 꺾음 | 스테이플 건 매치 초대 CZW 인터프로모셔널 하드코어 챔피언십 |
톰 브랜디가 데릭 스톤, 맥스 저스티스, 리노 리긴스, 릭 링크, 스캡, 그리고 스티븐 던을 꺾음 | 인터프로모셔널 배틀 로얄 |
2. 3. 경기 목록
wikitext
2. 3. 1. APWF 헤비급 챔피언십
스티비 리처즈는 3자간 경기에서 톰 브랜디와 기존 챔피언이었던 지미 시세로를 꺾고 새로운 APWF 헤비급 챔피언이 되었다.[2][4]2. 3. 2. WLW 헤비급 챔피언십
데릭 스톤(c)은 스티브 샤프를 상대로 WLW 헤비급 챔피언십 방어전을 치렀다. 이 경기는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경기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데릭 스톤이 스티브 샤프를 꺾고 챔피언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2][4]2. 3. 3. NDW 브라스 너클 챔피언십
NDW 브라스 너클 챔피언십을 건 싱글 매치에서 챔피언 릭 링크와 도전자 매니 페르난데스의 경기는 더블 실격으로 끝났다.[2][4]2. 3. 4. IPW 태그팀 챔피언십
더 핏불스 (핏불 #1 & 핏불 #2)가 태그팀 매치에서 당시 챔피언이었던 피 드카파 U (비프 & 채즈 웬트워스)를 꺾고 새로운 IPW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했다.[2][4]2. 3. 5. MCW 헤비급 챔피언십
헤드뱅어 모쉬가 로미오 발렌티노를 상대로 싱글 매치에서 승리하여 MCW 헤비급 챔피언십 타이틀을 방어했다.[2][4]2. 3. 6. WWO 헤비급 챔피언십
스캡은 래더 매치에서 나트론 스틸(c)을 꺾고 새로운 WWO 헤비급 챔피언이 되었다.[2][4]2. 3. 7. IPWA 헤비급 챔피언십
큐볼 카마이클(c)이 훌리오 산체스를 싱글 매치에서 꺾고 IPWA 헤비급 챔피언십 타이틀을 방어했다.[2][4]2. 3. 8. SCW 로드 오브 더 댄스 챔피언십
마이크 퀘켄부쉬는 루 마르코니와 돈 몬토야를 꺾고 초대 SCW 로드 오브 더 댄스 챔피언이 되었다.[2] 이 경기는 3자간 경기 방식으로 치러졌다.[5]2. 3. 9. APWF 대 SGWF 퍼스트 블러드 매치
APWF 소속의 팡과 SGWF 소속의 블레이드 부도렉스 간의 인터프로모션 퍼스트 블러드 매치가 열렸다. 경기 시작 10분 만에 압둘라 더 부처가 난입하여 두 선수를 공격했다.[1][2] 압둘라 더 부처는 포크로 팡을 찌른 뒤, 그를 관에 가두고 백스테이지로 끌고 갔다. 경기 결과는 팡이 블레이드 부도렉스를 꺾고 승리했다.[2][4]2. 3. 10. CZW 인터프로모셔널 하드코어 챔피언십
닉 게이지는 즉흥적으로 열린 스테이플 건 매치에서 저스티스 페인을 꺾고 초대 CZW 인터프로모셔널 하드코어 챔피언이 되었다.[2][4]2. 3. 11. 인터프로모셔널 배틀 로얄
인터프로모셔널 배틀 로얄 경기가 메인 이벤트로 열렸다.[4] 이 경기에서 톰 브랜디는 데릭 스톤, 맥스 저스티스, 리노 리긴스, 릭 링크, 스캡, 스티븐 던을 꺾고 우승했다.[2][4] 경기 후, 프로모터 알 아이작스가 브랜디에게 트로피를 수여하려 했으나, 브랜디는 수상을 거부하고 아이작을 공격하여 테이블 위로 파워밤을 시전했다.[1][2]3. 의의 및 평가
'브레이크 더 배리어'는 1999년 5월 15일 미국 필라델피아의 바이킹 홀에서 개최된 프로레슬링 이벤트이다. 이 행사는 ECW와 NWA를 비롯한 여러 단체가 협력하여 프로레슬링의 다양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메인 이벤트로 열린 '인터프로모셔널 배틀로얄'은 이러한 단체 간 교류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이를 통해 1990년대 말 당시 프로레슬링 업계의 흐름과 단체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그러나 메인 이벤트 우승자인 톰 브랜디가 수상을 거부하고 주최 측을 공격했다는 점 등 일부 경기 결과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restling Stuff
http://www.alisaacs.[...]
AlIsaacs.com
2010-05-01
[2]
간행물
Wrestling Supercards
Pro Wrestling Illustrated
[3]
웹사이트
Pro Wrestling Illustrated: Wrestling History
http://www.pwi-onlin[...]
PWI-Online.com
[4]
웹사이트
Official 411 Wrestling Almanac For May
https://web.archive.[...]
411mania.com
2003-05-09
[5]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chikarapr[...]
ChikaraPro.com
2010-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